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현안보고서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게시판 상세보기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안) 평가
작성자 정책입법담당관실
조회수 724
등록일 2021-09-14
첨부

(확정)3차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평가.hwp 바로보기

1. 취약한 산업구조 개선 전략 미흡

 

■ 제주경제구조를 보면 서비스업 76.1%(2019년 기준), 농림어업 9.0%, 건설업 9.9% 등으로 대외여건 변화와 기후변화에 상대적으로 크게 영향을 받는 취약한 산업구조.

❍ 2010년과 2019년의 산업구조를 비교해 보면, 제주의 서비스업과 건설업은 각각 5.1%p, 3.1%p 상승한 반면 농림어업과 제조업은 각각 7.2%p, 0.2%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그림>GRDP1)의 산업별 비중 증감폭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444000f.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1pixel, 세로 519pixel

주 : 1) 총부가가치 기준

2) 2010년 대비 2019년

자료 : 통계청

 

❍ 이는 관광객이 크게 늘면서 농업용지 개발로 건설업과 서비스업 활성화가 상대적 고성장을 달성하는 주요 요인이었음을 잘 보여 주는 것.

❍ 그러나 2018년 이후 수년간 고성장을 이끌어오던 개발⦁건설투자 중심의 성장 동력이 약화된 가운데 기존 주력산업(관광업 등)의 생산성도 정체되면서 성장세가 둔화

 

■ 사드사태 장기화(미중경쟁 격화 장기화)로 중국 관광객 둔화와 중국인의 제주지역 투자가 상당기간 위축될 가능성.

❍ 또한, 코로나19의 일상화(돌파감염 확산과 백신부족 현상 지속, 특히 저개발국 등) 내지 주기화 가능성(변종 코로나 확산 추세) 등 코로나19의 조기 종식 가능성이 낮은 상황.

❍ 사드사태 장기화와 코로나19의 일상화 등으로 관광객이 둔화내지 정체되는 상황이 상당기간 지속될 경우에 대비하여 내발적 성장(내수비중 확대 정책) 모델도 보강할 필요성.

❍즉, 낙수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제주자원(농수축수산물, 용암해수 등)을 활용한 가공형 제조업도 보강(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의 활성화 등을 통한 내수성장 강화)시킬 필요.

 

■ 내수산업을 육성시키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인력양성, 경쟁력있는 지속가능한 산⦁학⦁연 산업생태계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필요.

 

2. 유동인구 과잉 추계 가능성

 

■ 제 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에 따르면 2019년 1,528만명인(2020년 : 1,203만명) 제주관광객이 2031년에는 1,800만명(외국인 관광객 250만명 포함)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관광객(2031년 : 1,800만명) 및 정주인구(2031년 : 75만명 증가)를 합하여 제주지역 유동(최대 유입)인구가 95만명 내지 105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한편, 제주연구원은 2031년 제주관광객수 1,640만명(내국인 1,375만명, 외국인 266만명)에 그칠 것으로 추정(제주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인구정책 종합계획, 2019.12.)하고 있어 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의 관광객 추정치보다 160만명이 적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 이럴 경우 같은 2031년 제주지역의 유동인구는 93만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추정됨.

 

■ 2031년 유동인구는 93만명(제주연구원) 내지 95만명(3차 국제자유도시 시나리오1)에 그칠 것이라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시나리오 2(105만명 유입기준 : 쓰레기, 상하수도, 교통 인프라 확충)의 경우 유입인구가 과잉 추계된 것으로 판단됨.

 

■ 특히 코로나 발생 직후(코로나 발생 1주 ∼ 14주) 제주지역의 관광객이 여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음.

❍ 코로나 국면이 일상화되거나 장기화될 경우 제주지역의 유동인구(합계출산율 하락 + 관광객 둔화 등)는 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 계획의 추정치보다 크게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 코로나 회복 양상(장기화 혹은 일상화 vs 조기 종식)에 따라 2031년 제주지역의 유동인구 규모가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코로나 국면이 장기화 될 경우에도 대비한 대응 종합계획(플랜 B)도 마련할 필요.

 

<그림> 제주와 여타지역의 합계출산율 하락 폭 비교

합계출산율

합계출산율 추이

합계출산율 하락폭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a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5pixel, 세로 44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a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4pixel, 세로 43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a4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6pixel, 세로 445pixel

주 : 1)전년대비

자료 : 통계청

자료 : 통계청

주 : 1) 2010년 대비 2020년

자료 : 통계청

 

3. 고령화사회 대응 방안 미흡

 

■ 향후 10년간 제주인구는 6만명이 늘더라도 핵심생산연령 인구(25세 ∼ 49세)는 감소하는(1만명 감소) 반면 고령층 인구(65세 이상 인구)는 상대적으로 크게 늘 것으로(7만명 증가) 추계하고 있음(코로나19 발생이전인 2019년 통계청 추계치).

 

<표> 제주지역 연령별 인구 추이

구분

0 ~ 9세

10 ~ 19세

20 ~ 29세

30 ~ 39세

40 ~ 49세

50 ~ 59세

60 ~ 69세

70 ~ 79세

80세 이상

‘10년

577,187

61,509

84,870

71,490

90,380

99,664

73,598

48,414

33,548

13,714

‘19년

696,657

63,651

73,725

90,174

92,223

117,143

113,112

75,154

44,710

26,765

‘20년

697,578

61,472

71,863

89,393

89,529

116,256

114,590

80,478

45,721

28,276

 

증감

921

-2,179

-1,862

-781

-2,694

-887

1,478

5,324

1,011

1,511

자료 : 제주특별자치도

→ 도민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27년에는 20.1%(2021년 : 15.7% → 2027년 : 20.1% → 2031년 : 23.4%)에 달해 2027년 이후 초고령화 사회(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 상회하는 시점)로 진입이 본격화될 것으로 추정됨.

 

■ 인구 급증 시대에 맞춰 형성된 사회⦁경제 시스템이나 생활공간 인프라 등이 인구 둔화내지 감소로 인프라 과소 이용 가능성(도민의 이용 및 활용도 하락에 따른 수급 불균형으로 고정비용 급증, 안전관리 곤란 등 과잉공급 문제 → 이용 및 사용 용도 변경 및 시설 축소 등).

❍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등 교육 분야의 구조개혁 가속화 가능성, 고령화관련 산업의 확대(산업간 성장 격차 확대), 1⦁2인 가구 급증(소규모 아파트 수요 급증) 및 가족 형태 다양화 가능성(다문화 가정 확대 등).

→ 교육설비 및 주택의 과잉 우려(빈 학교 및 농촌지역⦁미 개발지역의 빈집 확대 예상)

→ 소형 주택 및 소형APT 수요 확대(대형주택 및 대형APT 수요 위축 가능성)

 

<그림> 대학 학령인구·정원 변화

<그림> 가구원수별 비중 변화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20c3b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11pixel, 세로 49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20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3pixel, 세로 496pixel

* 자료: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교육기본통계 활용

* 자료:통계청 장래가구추계

 

4. 농수축업의 미래성장 동력 확보 사업 미흡

 

■ 제 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을 보면 농수축업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①제주푸드아일랜드 조성(2022년 ∼ 2031년 총사업비 : 4,436억원, 국비 : 2,003억원, 도비 : 1,016억원, 민자 : 1,417억원 등), ②스마트농업 기술 확산을 위한 미래농업센터를 설치한다는 것(2022년 ∼ 2031년 총사업비 : 403억원, 전액 민자사업).

❍ 제주푸드아일랜드 조성사업은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와 식음료 제조 및 서비스 생산을 위한 지역내 푸드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농림어업, 제조업, 서비스업이 연계되어 제주형 식품클러스터 육성한다는 것).

 

■ 그러나 제주의 농축수산물은 도내소비 비중보다는 도외소비(유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점에서 역외경쟁력 강화 정책내지 글로벌 경쟁력 강화정책 사업도 보강할 필요.

❍ 제주 농산물의 도외소비 비중(채소 및 과실기준) 90.3%, 축산물(낙동 및 육우기준) 56.0%, 수산물 91.1%에 달하고 있음.

❍ 제주의 농림어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농산물의 고부가가치화(기능성 식품 강화와 확대) 및 경쟁력 강화(친환경 농수축생산품 확대) 정책이 대폭 보강되어야 함.

❍ 감귤산업에 대한 성장동력 확보 방안이 부재하다는 점도 향후 농산물 성장동력 확보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감귤산업의 성장 동력 확보 방안을 마련할 필요).

❍ 제주 바다를 활용한 미래성장 동력 발굴사업도 부재한 상황임.

❍ 제주도의 육상 면적은 전국의 1.7%에 불과하지만 제주도의 관할 해역은 우리나라 영토의 24.4%나 차지.

❍ 제주 해역은 광활한 대륙붕과 온난한 기후 덕에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고 있음(우리나라 전체 어류의 55.7%에 달하는 491종 서식, 해조류의 70%에 달하는 753종 분포, 제주해양수산연구원).

❍ 특히, 제주 토속 해조류 증양식을 통해 이산화탄소 저감(친환경 산업) 및 고부가가치 식품개발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잠재력(신성장 동력) 등도 간과했음.

 

5. 민간재원 조달 방안의 불확실성

 

■ 제 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을 보면 17개 핵심 투자사업에 9조 2,317억원, 112개 전략사업에 6조 4,919억원 총 15조 7,236억원을 투자한다는 것.

❍ 17개 전략사업 투자액(9조 2,317억원) 중 민간부문 재원조달액은 6조 95억원(국비 : 1조 2,073억원, 도비 : 2조 149억원)에 달함(전략사업 전체 재원조달액의 65.1%).

 

■ 제주지역의 민간투자자금 유입은 지역개발 본격화로 상승세를 지속하다가 자연훼손 우려 등으로 관련 규제가 강화되면서 다시 하락세로 전환.

❍ 2016년 이후 외국인의 직접투자 규모가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제주지역으로의 이전기업수 감소로 내국인 민간 투자규모도 둔화 추세.

- 2012년 ∼ 2015년 중 연평균 8.5개 기업이 제주로 이전 했으나, 2016년과 2017년에는 각각 1개 기업, 2018년에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남.

 

■ 대규모 개발사업의 환경 악화로(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등으로 제주지역에 대한 투자메리트 축소, 부동산 가격 급등, 환경보호 강화, 중국인 투자위축 등) 민간투자자금 유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에서 사업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우려감.

 

목록

콘텐츠 관리부서 : 입법지원담당관 담당자 : 김혜진 (☎ 064-741-2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