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더 많은 기회, 더불어 행복한 제주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현안보고서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게시판 상세보기
제주특별자치도 중장기 체육정책 발전을 위한 제언
작성자 정책연구실
조회수 268
등록일 2020-12-31
첨부

중장기 체육정책(최종본).hwp 바로보기

중장기+체육정책(최종본).pdf 바로보기

본 분석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전문체육, 생활체육, 학교체육, 체육시설, 스포츠산업의 환경분석을 바탕으로 제주특별자치도가 나아가야 할 중장기적 체육정책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둠 

❍ 이에 본 분석에 필요한 자료수집은 문헌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제주특별자치도 의회, 제주특별자치도 체육진흥과,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제주특별자치도 체육회로부터 내부자료를 요청하거나 온라인 자료를 열람하여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함.

❍ 제주특별자치도 중장기 체육정책의 시간적 범위는 20202030(10)으로 설정하였으며, 전문체육, 생활체육, 학교체육, 체육시설, 스포츠산업 분야의 SWOT분석결과 5개의 강점과 약점, 4개의 기회와 위협요인이 도출함.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장기 관점에서 제주특별자치도의 6가지 체육정책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공공 스포츠클럽 확대 및 학교운동부와 연계육성 협력, 선수-지도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전문체육 육성관리 시스템 마련, 공공 체육시설을 활용한 통합형 생활체육 서비스제공, 전문체육-생활체육이 공존하는 학교체육 거버넌스 구축, 스포츠클러스터 건립 및 목적형 체육시설 도입, 지역자원을 활용한 능동형 스포츠이벤트 관광상품개발필요.

 

종합해보면 개발된 체육정책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엘리트 선수육성의 내발적 발전시스템 구축, 수요자 중심의 공공체육시설 역할 변화, 생활-전문체육 발전을 위한 학교스포츠클럽 플랫폼 구축, 미래환경변화에 대비한 체육시설의 보완, 지역자원과 스포츠를 결합한 스포츠산업 고도화를 요구함.

❍ 아울러 본 분석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체육현황을 기반으로 체육정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제시된 체육정책의 객관화·일반화를 위해서는 지역 체육전문가 면담을 통한 실행가능성 검토 및 우선순위의 설정이 필요하며, 정책실행을 뒷받침하는 예산수립 과정이 검토되어야 함.

 

목록

콘텐츠 관리부서 : 입법지원담당관 담당자 : 김혜진 (☎ 064-741-2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