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9.7.(목)오전 TV주요뉴스>
◆ 정부의 긴축 재정 기조로 제주지역 민생경제 분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창출 등의 역할을 해 온 상당수 도내 사회적기업들도 비상이다. (KBS)
◆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인한 도내 어업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주도가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KBS, MBC, JIBS)
◆ 제주지역 주택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미분양 주택이 전국적으로 줄어드는 것과 달리 제주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데, 침체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KBS)
◆ 제주에서 학교폭력을 저질러 두 차례나 강제 전학 처분을 받은 학생이 또다시 무차별 폭행을 일삼았다. 재판도, 교육 당국의 조치도 무용지물이었다. (KBS, JIBS)
◆ 공직선거법과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오영훈 지사에 대한 1심 선고가 오는 11월쯤 나올 것으로 보인다. (KBS, MBC, JIBS, KCTV)
◆ 국민의힘 제주도당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의 총선 출마를 중앙당에 공식 제안했다. (KBS, MBC, JIBS)
◆ 더불어민주당 제주지역 원외 인사들이 당내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지역 단위 조직인 더민주제주혁신회의를 출범시켰다. (KBS, JIBS)
◆ 교사의 교육권 보호를 위해 선진국의 교사 보호 시스템 국내 도입을 검토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KBS, KCTV)
◆ 민선 8기 제주도정의 핵심공약인 상장기업 육성과 관련해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업체가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 됐다. (KBS, MBC, JIBS)
◆ 국내에서 복용이 금지된 낙태약을 베트남에서 들여와 판매한 여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KBS, MBC, JIBS, KCTV)
◆ 연인을 차에 태워 사고를 낸 뒤 도주한 50대가 경찰에 붙잡혔다. (KBS, JIBS, KCTV)
◆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오늘(7일) 제주를 찾아 제주도와 예산정책협의회를 갖는다. (KBS, MBC)
◆ 제주 시내 민오름 일대에 공원과 체육시설 등을 조성하는 남조봉공원 사업이 추진된다. (KBS)
◆ 삼화 부영 3차 임대 아파트가 10년 만기 분양을 앞두고 있다.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아파트 매매가가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는데, 평균 보다 1억 원 가량 높게 거래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MBC)
◆ 제주경실련은 어제(6일)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 JDC의 고위 간부인 권 모 씨가 내부 정보를 이용해 땅 투기를 했다고 주장했다. (MBC, JIBS, KCTV)
◆ 제주공항 진입로에 설치된 대중교통우선차로의 폐지 여부가 검토된다. (MBC)
◆ 제주도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 안정에 나섰다. (MBC, JIBS, KCTV)
◆ 도내 착한가격 업소에 공공요금이 지원된다. (MBC, KCTV)
◆ 어제(6일) 아침 8시 반쯤 제주시 애월읍 LNG 배관 이설 작업장에서 60대 노동자가 굴삭기에 깔려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MBC, JIBS, KCTV)
◆ 농촌 지역의 사찰을 돌며 현금을 훔친 20대 남성이 구속됐다. (MBC, JIBS, KCTV)
◆ 농업정책자금 부당수령 사례가 해마다 끊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MBC)
◆ 제주 지역에서 항생제 내성균 감염증이 증가하고 있다. (MBC, KCTV)
◆난이도가 높은 이른바 킬러 문항을 배제한 첫 수능 모의평가가 어제 제주 도내 고등학교에서 실시됐다. (JIBS)
◆ 제주 지역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이 1년 만에 L당 1천800원대에 올라섰다. (JIBS)
◆ 밥 걱정 없는 제주 만들기 캠페인이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 (JIBS)
◆ 제주가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인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JIBS, KCTV)
◆ 내년부터 제주목관아와 삼양동 선사 유적지, 삼성혈 주변에서 건물 신축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JIBS, KCTV)
◆ 서귀포시에서만 공유지 28만 제곱미터가 허가 없이 무단 점유된 것으로 파악됐다. (JIBS, KCTV)
◆ 이번에 자치경찰에 처음 적발된 가축분뇨 재활용 업체의 분뇨 무단 투기가 상습적으로 이뤄진 건 허술한 법망도 한 몫 했다. 수차례 불법 행위에도 경미한 행정 처분에 그치면서 제도 개선이 시급해지고 있다. (KCTV)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