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인터넷 · TV 뉴스 모니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2024. 6. 26(수)오전 TV주요뉴스>

 

◆ 선원 12명을 태우고 제주 먼바다로 조업에 나선 어선이 밤사이 연락이 끊기며 해경이 급히 수색에 나섰다. 해당 어선은 연락 두절 10시간여 만에 무사히 조업 중인 게 확인됐다. (KBS, MBC, JIBS, KCTV)

 

◆ 서귀포시의 한 신축 아파트가 철근까지 누락하는 부실시공으로 분양받은 사람들이 입주를 못 하고 피해를 보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 적 있는데, 제주도가 이 아파트에 대한 불법 하도급 정황을 포착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KBS)

 

◆ 무산됐던 대정해상풍력사업이 재추진되고 추자도에 3GW 규모의 초대형 해상풍력발전 사업도 본격 추진된다는 소식을 전했었는데, 제주 애월읍과 한경면에서도 마을별로 해상풍력발전 사업 추진이 잇따르고 있다. (KBS)

 

◆ 제주를 찾는 내국인 관광객 감소와 길어지는 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올해 관광소비가 다달이 두 자릿수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KBS)

 

◆제주 숙박시설 포화로 휴업하거나 폐업하는 업소가 해마다 늘고 있다. (KBS)

 

◆6·25 전쟁 74주년 기념식이 어제(25일) 한라체육관에서 열렸다. (KBS, MBC, JIBS, KCTV)

 

◆ 제주 4·3 당시 억울하게 옥살이를 한 군사재판 수형인 30명에게 법원이 무죄를 선고했다. (KBS, MBC, JIBS, KCTV)

 

◆ 제주도교육청이 제2부교육감을 신설하는 것과 관련해 도민사회 설득과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도의회에서 나왔다. (KBS, MBC, JIBS, KCTV)

 

◆ 경기도 화성의 리튬배터리 공장 화재로 서른 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리튬 전지는 물이나 이산화탄소 살포로도 불이 잘 꺼지지 않는 특성이 있어 한 번 불이 나면 참사로 번질 수 있다. (MBC, JIBS)

 

◆ 제주도교육청의 '정무부교육감 신설' 조례안 발의와 관련해 제주지역 교육과 학부모단체들이 공동성명을 내고, 자리 신설을 위한 일방통행식 질주가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의문이라고 규탄했다. (MBC)

 

◆ 제주 여행에 대한 관심도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폭락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MBC, KCTV)

 

◆ 제주지역 농민단체들이 필수 농자재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을 요구했다. (MBC, KCTV)

 

◆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의 제주 대표 공약인 관광청 신설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MBC, JISB, KCTV)

 

◆ 동홍천 정비사업으로 철거된 옛 서귀포시민회관을 대신할 서귀포 시민문화 체육복합센터가 준공됐다. (MBC, KCTV)

 

◆ 제주도 장애인 기능경기대회가 오늘(26일)부터 사흘 동안 한국폴리텍 대학 등에서 열린다. (MBC)

 

◆ 내년부터는 8시간미만 체류하는 크루즈도 제주에 기항할 수 있게 된다. (MBC)

 

◆ 어제(25일)는 6.25 전쟁 74주년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고향으로 가지 못한 12만여 명의 전사자들이 전국 곳곳에 잠들어 있는데, 제주 출신 전사자 중에서도 유해가 발굴된 건 5%도 안 된다. (JIBS)

 

◆ 오늘도 어김없이 군 장병들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헌신하고 있다. 제주지역의 한 식당에서 군 장병들이 평생 잊지 못할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해장국을 선물 받았다는 제보가 들어왔다. (JIBS)

 

◆ 그제(24일) 놀이기구가 멈춰 어린이들이 고립되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놀이기구 안전 관리에 사각지대가 우려된다. (JIBS, KCTV)

 

◆ 아동 학대 의심신고 가운데 절반 이상이 실제 학대 사례로 판정됐다. (JIBS)

 

◆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에 대비한 복지 분야 청사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JIBS)

 

◆ 제주자치도 예산을 투입해 조성한 지역 혁신 벤처 펀드로 제주지역 기업에 대한 첫 투자가 이뤄졌다. (JIBS)

 

◆ 지난해 알뜨르 비행장을 장기간 무상 사용하는 내용의 제주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부지 문제가 해결되며 10여 년 만에 사업이 가시화되나 싶었는데 이번에는 예산이 발목을 잡고 있다. 평화대공원 사업이 몇 년 전 지방 이양 사업으로 분류되며 법적으로 국비 확보가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전체 사업비가 571억 원에 이르며 자칫 전액 지방비로 충당해야 할 상황인데, 제주도는 이 같은 사실을 알면서도 사실상 방치하고 있었다. (KCTV)

 

목록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