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24.(목)오전 TV주요뉴스>
◆ 내년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며 지원기관인 제주온라인학교도 운영에 들어갔다.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넓히고 진로 연계나 소규모 학교 지원 등 당초 취지를 살리기 위한 과제는 무엇인지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 봤다. (KBS)
◆ 제주동부하수처리장 증설을 위한 제주도 고시가 위법하다는 법원 판단이 항소심에서 뒤집혔다. (KBS, MBC, JIBS, KCTV)
◆ 제2공항 추진을 성산읍 지역이 9년 동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있는 가운데 추가 연장 계획이 나오자 반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KBS, MBC, JIBS, KCTV)
◆ 진보당 제주도당은 어제(23일) 도민카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 퇴진 국민투표를 12월 6일까지 45일간 전국에서 시작한다고 밝혔다. (KBS, MBC, JIBS)
◆ 성매매 혐의로 기소된 강경흠 전 제주도의원에게 벌금형이 선고됐다. (KBS, JIBS, KCTV)
◆ 5년 전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견돼 제주로 이관된 유골이 4·3 희생자일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 나왔다. (KBS, MBC, JIBS, KCTV)
◆ 제주지역 돼지 농가의 구제역 백신 항체 양성률이 해마다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KBS)
◆ 제주지역 응급환자의 헬기 이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KBS)
◆ 어제 오전 11시쯤 제주시 애월항 인근 해상에서 부산시 73살 A 씨가 실종 신고 이틀 만에 차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KBS, JIBS, KCTV)
◆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제주도에 대한 국정감사를 벌였다. 여·야 국회의원들은 제주를 찾는 내국인 관광객이 줄어들고 있다며 대책을 요구했고 문재인 전 대통령의 딸 문다혜씨의 불법 숙박영업 의혹을 엄정하게 수사하라고 요구했다. (MBC, KBS, JIBS, KCTV)
◆ 제주경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제주MBC가 보도한 병가중 해외여행 문제를 놓고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늘어나는 외국인 범죄 문제와 허술한 교통사고 처리도 도마에 올랐다. (MBC, JIBS)
◆ 천연보호구역인 서귀포시 범섬에는 1950년대 들여놓은 토끼가 아직도 야생에서 번식하고 있다. 그런데 이 토끼들이 자생식물만 마구 갉아먹으면서 외래종 확산이 늘어나자 제주도가 포획 작업에 나섰다. (MBC, KBS, JIBS)
◆ 김건희 여사가 지난해 제주를 방문할 때 항공기 비행 관련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MBC)
◆ 일제강점기 비행장 등 역사 유적이 있는 알뜨르비행장에 체육시설 건립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다. (MBC)
◆ 외국인이 제주에서 교통법규를 위반하고 내지 않은 과태료가 10억 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MBC)
◆ 이달부터 사회복지시설에서 유급 휴가 제도가 시행된다. (MBC)
◆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강은주 전 진보당 제주도당 위원장 등이 1심 재판부를 바꿔달라며 낸 법관 기피신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MBC)
◆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제 작업이 추가로 이뤄진다. 제주도는 내년 9월까지 53억 원을 들여 제12차 방제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MBC)
◆ 제주 공공도서관의 이용자가 한 해 170만 명에 육박하지만 시설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MBC, JIBS)
◆ 경기 침체의 여파로 제주지역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JIBS)
◆ 자치경찰 기마대 말 안락사 문제가 국정감사에서도 거론됐다. (JIBS)
◆ 캐나다 교과서에 제주가 일본 영토로 표기됐지만 제주자치도의 대응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JIBS)
◆ 치안과 안전은 단순히 행정기관이나 경찰 인력만으로는 유지하기 어렵다. 그만큼 지역 사회에서 촘촘한 안전망이 구축돼야 한다는 얘기인데, 지역 안전과 치안을 위해 묵묵히 노력하는 현장을 전한다. (JIBS)
◆ 한림농협이 제주에서 처음으로 농민훈장 제도를 도입해 7명에 시상했다. (JIBS)
◆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제주도를 상대로 국정감사를 실시했다. 2년 만에 현장에서 진행된 이번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은 오영훈 지사를 상대로 현안과 정책에 대한 질의를 이어갔는데, 다만 대부분의 질의가 관광 문제에 집중되는 탓에 정작 행정체제개편 등 제주도의 큰 현안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지 않아 아쉬움을 줬다. (KCTV)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