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보도자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정책토론회 및 의정활동 등에 관한 보도자료입니다.

해당 게시물을 클릭하시면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게시판 상세보기

“지속가능한 건강 돌봄, ‘제주형 건강주치의제로 답하다”

강성의 의원,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추진방안 논의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강성의 예산결산위원회 위원장 및 보건복지안전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화북동)은 5월 27일 화요일 오후 2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제주형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추진방안 모색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 이번 토론회는 도민의 건강지표 악화와 만성질환 증가 등 지역사회 건강관리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는 건강주치의제의 방향성과 추진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 사례발표는 성북구보건소 건강정책과 박영문 간호사가 맡아, ‘성북구보건소 건강주치의 도입사례 및 과제’를 주제로 건강취약계층 어르신을 대상으로 보건·의료·복지 통합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온 성북구의 정책경험을 공유한다.

이어서 강성의 의원이 대표 발의 예정인 「제주특별자치도 건강주치의제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공유한다.

종합토론에서는 강성의 의원이 좌장으로 하여, △박성배 일차의료개발센터(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다학제팀장, △김옥숙 성북구보건소 건강정책과 건강주치의 팀장, △노건웅 제주한라병원 전문의, △권용욱 제주권역재활병원 원장, △김남용 제주특별자치도 보건정책과 건강주치의TF 팀장이 참여하여 제주에서의 실현 가능성, 도입 시 고려사항, 유사 중앙정부 사업과의 차별화 방안 등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 강성의 의원은 “의료 접근성이 취약한 고령층 도민들에게 주치의 중심의 지속적인 건강관리는 필수적”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실효성 있는 제주형 건강주치의 모델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울러 강 의원은 “건강주치의제가 단순한 의료서비스를 넘어 일상 속에서 건강을 돌보는 생활 밀착형 정책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도민 중심의 체계적인 시범사업 추진과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이에 강 의원은 현재 건강주치의제 도입을 위한 추진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 건강주치의제 운영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검토 중에 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전문위원실 강나진 정책연구위원에게 (☎ 064-741-2032)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자 보건복지안전위
조회수 93
등록일 2025-05-26
의원 강성의
첨부

[250526] 강성의 의원, 지속가능한 건강돌봄, 건강한 제주주치의제로 답하다.hwp 바로보기

목록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