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정책토론회 및 의정활동 등에 관한 보도자료입니다.
해당 게시물을 클릭하시면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중 FTA 협상 국회 방문 결과」기자회견 |
|
---|---|
도의회 FTA 대응 특별위원회
사랑하는 제주도민 여러분!
우리 특위에서는 지난 5일 한·중 FTA 협상에 따른 對 정부 건의문을 가슴에 품고 국회를 방문하였고,
對 정부 건의문에 우리의 요구사항은, 이 자리에서 우리가 요구하는 11개 품목 ‘양허제외’에 대하여 부연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지난 9월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한·중 FTA 제13차 협상 결과 자료에 의하면 상품 분야에서 양측은 현재 협상의 가장 큰 쟁점이 되고 있는 부분은 중국 측은 제조업 조기 관세철폐, 어제 제14차 협상에서 어떻게 협상이 진행이 되었는지 모르지만 지금 이 시간까지도 중국 측은 끈질기게 우리 측에 농수산물 시장개방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금번 협상에는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관으로 구성된 정부 대표단이 참석 하고 있어, 김우남 위원장도 농림축산식품부 업무보고, 국정감사 등을 통하여 도민 요구사항이 관철 될 수 있도록 누누이 강조하였고 농림부 관계자도 이해를 하여주셨습니다.
지금 농어촌은 농산물 가격폭락, 해마다 반복되는 산지폐기, 인력부족에다 인건비 및 영농자재 상승 어느 누가 농어촌을 사랑하고 농어촌에 살겠습니까. 한·중 FTA 대응책의 일부는 중국시장 농식품 수출확대이나 현실은 참으로 비참합니다.
한국무역협회의 2013년도 한·중 수출입 현황을 보면 수출은 1,458억불, 수입은 830억불, 무역수지는 628억불이나,
그리고 2013년도 농산물 가공, 신선 수출품목을 금액 순으로 자세히 살펴보면 1위가 궐련, 2위가 커피조제품, 3위가 음료이며 감귤은 맨 마지막으로 위치에 있으며 31위입니다. 한·중 FTA 협상은 이 시간까지도 철저하게 비공개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어 우리는 답답하고 안타까운 심정입니다.
우리 특위는 오늘 9시에 간담회를 개최하여 한·중 FTA 협상과 관련하여 특위 활동계획을 논의하였습니다. ---------------------------------------- ---------------------------------------- ---------------------------------------- 감사합니다. 2014. 11. 7 제주특별자치도의회 FTA 대응 특별위원회
위 원 장 허 창 옥 ※ 성명 가나다 순 |
|
작성자 |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 |
조회수 | 1284 |
등록일 | 2014-11-07 |
의원 | |
첨부 |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