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정책토론회 및 의정활동 등에 관한 보도자료입니다.
해당 게시물을 클릭하시면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양영수 의원, “장묘문화를 보여주는 입도조묘 도지정문화유산 지정” 검토 요구!! |
|||
---|---|---|---|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양영수 의원(진보당, 아라동을선거구)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32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세계유산본부장을 상대로 “장묘문화를 보여주는 입도조묘 도지정문화유산으로 지정 검토”를 요구하였다.
□ 지난 2023년 12월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조사한 「제주의 입도조 현황 실태조사Ⅰ」연구용역에 의하면 제주성씨와 더불어 200여개의 입도조 성씨들이 유배, 은거, 피신, 낙향으로 인해 제주도에 터를 잡고 살아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 연구용역에 의하면 가장 먼저 유입된 성씨는 풍개(진주) 진씨 공민왕 20년(1371) 피신으로 유입되기 시작하여 이후 조선 태조에서 선조까지 입도하기 시작하여 길게는 653년 짧게는 430년 정도 되고 있다.
□ 입도조묘에서는 양 측면의 동자석과 문인석, 원수형 묘갈, 비좌이수형 묘비, 동자석의 쌍상투와 술잔, 상석과 향로석 등의 장묘문화를 잘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적 가치가 있으나 개발과 관리를 이유로 이전이 이루어지고 있어 당대 우리나라 장묘문화와 제주도 전통 장묘문화가 사라지고 있다.
□ 양영수 의원은 “제주도 입도조묘는 당시 장묘문화를 잘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각 가문과의 이해관계를 통해 입도조묘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도 필요하다. 입도조묘에 대한 도지정문화유산과 향토유산으로 지정 추진하면 각 가문의 자긍심과 함께 애향심을 가질 수 있다. 우선 행정에서 적극적으로 향토유산으로 지정 적정성을 검토하여 주시고 이후 사료적 가치가 큰 입도조묘에 대해서는 도지정 문화유산로 지정하여 보호될 수 있도록 검토해 주시기 바란다.”며 문화유산 지정 검토를 요구하였다.
|
|||
작성자 | 문화관광체육전문위원 | ||
조회수 | 337 | ||
등록일 | 2024-10-22 | ||
의원 | 양영수 | ||
첨부 |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