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보도자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정책토론회 및 의정활동 등에 관한 보도자료입니다.

해당 게시물을 클릭하시면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게시판 상세보기

「제주특별자치도 장애인 직업재활 활성화 및 지원 방안 연구」 최종보고회 개최

제주도의회 포용복지연구공동체포럼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연구단체 「포용복지연구공동체포럼」 (대표의원 이경심)은 12월 13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장애인 직업재활 활성화 및 지원 방안 연구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 이번 연구는 지난해 ‘치매환자 돌봄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에 이어 두 번째로 제주지역의 낮은 장애인 고용률로 인한 직업재활시설의 제한적 문제를 해결하고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통합을 통해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가 진행되었다.

 

❍ 연구에는 김진훈 소장(복지in연구소)이 책임연구원을 맡고 김동주 교수(우석대학교 재활상담학과), 신숙경 교수(전주대학교 재활학과 교수), 박경숙 원장(에코소랑)이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했다.

 

❍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은 361명으로 직업재활시설의 종사자 수와 이용자 수는 타시도 대비 2배 수준을 보였으며, 시설 평균 매출액 역시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공판매 비율은 39.9%로 타시도보다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또한 FGI결과 직업재활시설은 생산, 판매, 행정, 마케팅 등 다기능적 역할과 경영관리를 동시에 수행하며 복지와 경제적 운영 간 균형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 생산품에 대한 사회적 편견, 예산 및 인력 확보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장애인 직업재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으로는 ‘제주형 직업재활 글로벌 표준 모델 정립’을 비전으로 ‘사회적 고용혁신’, ‘사회적 가치 창출’, ‘관광산업 연계 발전’, ‘직업재활시설 다각화’를 추진전략으로 제시하였다.

 

❍ 이경심 대표의원은 “데이터를 보면 제주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 선도적으로 앞서가는 것으로 보이지만 현장에서 느끼는 것과 다를 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용역을 토대로 각 단계별 로드랩을 수립함으로써 도내 장애인직업재활이 활성화되고 장애친화도시 실현을 위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전문위원실 양기훈 정책연구위원에게 (☎ 064-741-2031)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자 보건복지안전전문위원
조회수 451
등록일 2024-12-13
의원 이경심
첨부

(보도자료)_포용복지연구공동체 최종보고회.hwp 바로보기

목록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