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보도자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정책토론회 및 의정활동 등에 관한 보도자료입니다.

해당 게시물을 클릭하시면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게시판 상세보기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위,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 홍인숙)는 10일 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저출생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은 교육과 복지연구소 眞(대표 진은설), ‘제주특별자치도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은 제주연구원 제주고령사회연구센터(센터장 김재희)에서 담당하고 있다.

 

❑ 중간보고회는 ‘제주특별자치도 저출생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과 ‘제주특별자치도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 등 지난 1월부터 특별위원회에서 추진 중인 두 건의 연구용역에 대하여 진행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저출생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 중간보고에서 김홍철 책임연구원은 제주도의 합계출산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조례가 미비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 특히 2023년 기준 전국 지자체별 출산지원정책의 사업량을 분석한 결과 경기(398개), 경남(291개), 전남(237개) 등에서는 다양한 출산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제주지역의 경우 9개 사업만 추진한 것으로 나타나 그간 제주도정에서 저출생 해결을 위해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했다.

 

❑ 이어진 ‘제주특별자치도 초고령사회 도래에 따른 정책 현안 및 대응방안 마련 연구용역’ 중간보고에서 김재희 센터장은 제주지역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 비율은 2015년 13.8%에서 지난해 18.9%까지 증가했다며, 당초 통계청에서 2026년 제주의 초고령사회 진입을 예상했으나 이보다 조금 더 빨리 도래할 가능성이 높음을 이야기했다.

 

❑ 또한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2024년 실시한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 제주지역 내에 노인의 공공문화 및 여가시설 이용 충분도, 프로그램 인지도, 프로그램 충분도 등에서 전국 평균보다 상당히 낮아 제주지역 노년층의 건강하고 활발한 사회생활을 위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 홍인숙 위원장은 “우리 특위에서는 미래 제주를 위한 적절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마련하고자 저출생과 고령화 문제를 각각 심도 있게 살펴보기 위해 각각의 주제로 별도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이어 “반환점을 돌아 마무리를 향해 가는 두 건의 연구용역이 제주의 내일을 위해 꼼꼼하고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전문위원실 황이삭 정책연구원에게 (☎ 064-741-2038)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위,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위,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위,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작성자 보건복지안전위
조회수 311
등록일 2025-03-11
의원 홍인숙
첨부

[250311](보도자료)_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사후).hwpx 바로보기

사진1.jpg 바로보기

사진2.jpg 바로보기

사진3.jpg 바로보기

목록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