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더 많은 기회, 더불어 행복한 제주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보도자료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정책토론회 및 의정활동 등에 관한 보도자료입니다.

해당 게시물을 클릭하시면 상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게시판 상세보기

한권위원장, 4.3의 정의로운 해결 위한 연대· 협력활동 전개

5월 17~18일. 5.18특위 간담회, 국립트라우마센터 방문. 5.18기념식 참석 등

한권 위원장, 4‧3의 정의로운 해결 위한 연대‧협력 활동 전개

5/17~18일 5‧18특위 현안간담회, 국립트라우마센터 방문, 5.18 기념식 참석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4‧3특별위원회 한권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일도이도건입)
517~18일 양 일간 광주를 방문하여 광주광역시의회 518특별위원회 현안 간담회를 개최하고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방문한데 이어 제44518민주화운동 기념식 등에 참석하여, 과거사 해결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 한권 위원장은 17일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광주 본원)를 방문하여 차호준 원장과 함께 운영비의 지방비 매칭 문제, 기존 시범사업 운영 트라우마센터 직원의 고용승계 문제, 7월 1일 개관 준비 사항 등에 대해 논의하고, 신축으로 개관하는 본원의 시설을 둘러보았다.

□ 이후 광주시의회 5‧18특별위원회(위원장 정다은)와의 현안 간담회를 개최하여, 현재 추진 중인 5‧18 진상조사 보고서 공개 및 의견 수렴 과정 등에 대한 공동 대응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 지난 4월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과제별 결과보고서를 공개하였으나 광주 시민사회단체 등 지역사회는 사법부 판결을 부정하는 사실이 포함되고 서술상 오류와 왜곡 등이 있는 문제를 제기하는 등 보고서 내용 공개 지연 및 의견수렴 절차 미흡 등으로 논란이 발생하고 있어, 향후 제주4‧3 관련 추가진상조사 결과보고서와 관련된 시사점을 찾고자 논의의 자리를 마련하였다.

□ 한권 위원장은 5월 17일 개최된 5‧18민주평화대행진과 전야제, 동아시아민주평화인권네트워크 간담회 및 5월 18일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기념식에 참석하여 과거사 문제의 공동해결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 5‧18민주평화대행진은 1980년 5월 14일~16일 전남대 정문을 넘어 거리로 진출, 가두시위를 하며 금남로로 행진했던 ‘민족민주화성회’를 재연한 행사로, 광주공원에서 금남로 일대까지 행진하였다.

○ 동아시아민주평화인권네트워크는 제주4‧3평화재단, 5.18기념재단,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등 국내외 11개 기관이 가입되어 있으며, 과거사 청산, 민주주의 진전, 평화 및 인권 관련 활동을 전개하는 조직이다.

□ 한권 위원장은 “국립국가폭력트라우마치유센터 출범 및 추가진상조사 진행 등 43 현안을 현명하게 해결해나가기 위해서는 제주만의 독자적 대응 보다는 연대와 협력의 힘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이번 활동을 기획했으며, 43의 전국화세계화 또한 중요한 과제인 만큼 518은 물론 다른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과거사 문제 해결을 위한 여러 단초를 놓을 수 있었던 좋은 기회로, 앞으로도 43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완성도 있는 활동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작성자 4.3특별위원회
조회수 118
등록일 2024-05-19
의원 한권
첨부

[보도자료]240519_4.3특위+광주방문+5.18기념식참석(한권위원장).hwp 바로보기

목록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박정욱 (☎ 064-741-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