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의회에바란다

<의회에 바란다>는 의정운영에 도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자 운영되는 게시판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인터넷 홈페이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0조(홈페이지 게시물 관리)에 의하여 특정인의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욕설·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기타 게시판 운영 취지에 맞지 아니하는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으며, 게시자는 게시물 등록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민·형사상의 책임을 져야 함을 알려 드립니다. 

 

게시판 상세보기
모구리야영장의 현실
No 370
작성자 변ㅇㅇ
조회수 1909
등록일 2012-05-29 16:34
도정발전을 위해 애쓰시는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저는 5월 24일-25일 1박 2일 동안 학생 306명을 인솔하고 서귀포시 성산읍 소재 모구리야영장에서 야영수련을 실시한 신성여자중학교의 1학년 부장을 맡고 있는 교사 변종태입니다. 청소년들의 교육에서 지식 교육 못지 않은 것이 인성교육이요, 이러한 부분을 위해서 어른들이 마련해 줘야할 부분은 마땅한 수련 시설의 설치요,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시설 관리라 생각합니다. 더구나 금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된 주 5일제 수업으로 시간적 여유가 생긴 청소년들과 학부모들에게 좋은 수련 및 야영시설의 존재는 그들의 심신을 건강하게 하여 새로운 한 주, 새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충전의 공간이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을 마련하고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최대의 공간을 확충 유지 및 관리를 하는 것은 확충하는 것은 제주도나 서귀포시의 책임이자 의무요, 미래 청소년들을 위한 장기 프로젝트의 일환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야영수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시설을 찾는 학교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로서, 도내 청소년 수련시설의 태부족과 시설의 열악함을 개탄하던 차에, 본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정 체험활동으로 구성된 1박 2일간의 야영수련을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앞으로도 같은 활동을 할 학교, 단체가 있을 것이고, 저희 또한 반복적인 행사를 해야 하기에 야영시설에 대한 건의를 드리고자 이 글을 올립니다. 첫째, 시설 관리에 관한 부분입니다. 무릇 청소년은 우리 사회의 미래라고 하는 말을 합니다. 그러기에 그들에게 투자되는 비용은 소비가 아닌 우리 미래에 대한 투자라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야영을 하면서 지도교사로서 느낀 점은, 야영장 규모와 시설에 비해 직원들의 일손이 부족하여 거의 관리가 되지 않고 있음에 실망이 컸습니다. 근무자들께 여쭤봤습니다. 직원이 정직 한 분에 무기계약직 세 분이 2교대로 근무하신다고 하더군요. 과연 그 분들이 5만 평에 달하는 야영장의 시설 관리와 보수 작업들을 할 수 있을까요? 그 분들이 슈퍼맨이 아닌 한 말입니다. 이 상태로 그대로 방치된다면 이 훌륭한 기반 시설은 황무지로 방치되고 말 것이라는 염려가 되더군요. 둘째, 영지의 시설 상태에 관한 부분입니다. 야영장 시설은 날씨가 맑을 때에는 그리 문제가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우천시에는 상황이 다릅니다. 저희가 야영하던 5월 24일 저녁만 해도 30mm 안팎의 비가 내렸습니다. 그리 많은 강수량이 아닌 셈이지요. 하지만 저녁 12시를 넘기기 시작하면서 경사가 진 영지에는 위에서부터 흘러내린 물이 아래쪽 텐트로 스며들기 시작하여, 급기야 밤잠을 깬 아이들과 텐트를 들고 옮겨 다녀야 했습니다. 만약에 계단형으로 평탄작업이 되어 있고, 횡으로 배수로가 되어 있었다면 절대로 이러한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그런 계획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셋째는 화장실과 취사장에 관한 부분입니다. 저희가 야영을 한 한라산영지는 취사장이나 화장실과 제법 거리가 떨어져 있었습니다. 물론 비가 오지 않고, 낮이라면 조금 걸어서 다녀오는 것도 큰 무리가 없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비가 오는, 심야 시간이라면 문제가 심각합니다. 더구나 아직 어린 여학생들이기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과연 이 글을 읽을 분들의 따님이 이런 환경에서 야영을 한다면 어떤 생각, 어떤 느낌이 드실는지요. 텐트 한 동의 학생 4-5명이 밤잠을 깨워 함께 화장실을들락거려야 했습니다. 각 영지마다 가까운 취사장이나 화장실 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지요. 넷째는 식재된 나무들의 관리에 관한 부분입니다. 2002년 처음 개장될 당시에는 황량하고 바람만 쌩쌩 불던 야영장이 이제는 제법 울창한 모습으로 변모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푸르름을 보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은 싱그러운 가슴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식재된 나무도 꽤 많은 편이구요. 하지만 이제 막 숲이 되어가는 이 시점에서 제대로 나무를 만질 줄 아는 수목관리사가 나무를 다듬어 예쁘게 만들어준다면 이곳을 찾는 야영객들은 더없이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더 깊은 감동과 체험을 만들어 낼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 때를 놓친다면 그저 시원치 않은 잡목들이 뒤엉켜 죽을 것은 죽고 살 것은 사는 야생의 상태로 방치되고 말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섯째는 내방객들에 대한 부분입니다. 현재 야영장 입장료는 청소년 2,000원, 일반인 2,400원이더군요. 하지만 조금 더 비싸다고 가고 안 가고 할 게 아니라, 시설만 제대로 갖춰진다면 다소의 비용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용객들이 찾으리라 생각합니다. 조례로 책정된 금액이라면 조례를 바꿔서라도 제대로 된 비용을 징수하고,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해 주십사 하는 점입니다. 제 소견으로는, 모구리 야영장의 입지 조건은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유네스코 자연유산인 성산일출봉과, 영주산, 성읍민속마을을 끼고 있고, 장흥-성산간 훼리호의 취항으로 조금만 제대로 정비를 한다면 서귀포시나 제주도에 소모적인 시설만은 아니리라 생각합니다.(절물휴양림이나 서귀포휴양림의 사례와 비교한다면 분명해지지 않을까요?) 이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의 소견입니다만, 현장을 체험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동료들과 대화한 결과를 건의드리는 것입니다. 바라건대, 모구리야영장이 환골탈태, 새로운 모습으로 청소년과 관광객들에게 다가갈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봅니다. 고맙습니다.
▲ 이전글 제주시 J병원과 공무원의 결탁으로 개인의 사유지를 편취 시도
▼ 다음글 왜 필요한 기지를 반대하나요

목록 수정 삭제

콘텐츠 관리부서 : 총무담당관 담당자 : ☎ 064-741-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