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에 바란다>는 의정운영에 도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자 운영되는 게시판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인터넷 홈페이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0조(홈페이지 게시물 관리)에 의하여 특정인의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욕설·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기타 게시판 운영 취지에 맞지 아니하는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으며, 게시자는 게시물 등록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민·형사상의 책임을 져야 함을 알려 드립니다.
3년째 들엄시민을 하고 있는 다자녀 엄마입니다. | |
---|---|
No | 875 |
작성자 | 이순정 |
조회수 | 778 |
등록일 | 2018-12-04 10:16 |
겨울에 왠 비가 이리 오나 싶습니다. 날씨는 따뜻한 듯 하여 조금은 건강에 소홀 할 수 있을 듯 합니다만, 이런 날씨야 말로 건강을 해치기 딱 좋은 날씨라 생각됩니다. 모두들 건강에 주의하시고 도정활동에 힘써 주시길 바랍니다.그리고 제 얘기도 좀 들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저는 초등학교6학년. 4학년.3학년을 키우는 다자녀 엄마이자, 들엄시민 3년차 엄마입니다. 큰아이가 영어에 감각이 있어 초등학교2학년 때까지 사교육을 시켰습니다. 그 사이 유치원생이었던 동생들이 초등학교에 들어갈 나이가 되었고, 영어학원에 다니는 누나를 따라 학원에 보내달고 했습니다. 초등학교 영어 사교육비가 학생 1인당 교재비를 포함할 때는 30만원이 훌쩍 넘는 금액입니다. 둘째도 영어학원으로 거기다 다음엔 셋째도 영어학원으로~~다행이 영어만 보내면 어찌어찌 감당이라도 해볼텐데.. 아이셋 키우는 저희는 학원비도 학원비지만, 한해 한해 성장이 한참인 아이들 먹이고 입히는 돈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결단을 내려야 했습니다. 사교육에서 빠져나와야 한다고 생각하고 고민하고 또 생각하고 고민했습니다. 그리고 큰아이 초등학교2학년 말쯤 다음달 학원비를 지불하고도 한참을 고민하고 또 했습니다. 지금까지 해왔던것이 아까와서~~둘째 셋째는 어찌해야 하는지~~ 엄마로서 정말 그때는 머리속이 터질만큼 했던 고민했었습니다. 그리고 학원을 그만두고 저는 또다른 고민에 머리 속이 복잡했습니다. 영어를 이대로 포기하고 갈 것인가? 아니면 엄마표?로 해볼것 인가? 엄마표로 하기엔 일하는 엄마에게는 한계가 있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찾고 찾고 찾아서 들엄시민이란 구세주를 만났습니다. 2015년 10월 14일로 기억이 납니다. 들엄시민 사례발표가 있어 학교 도서관에 앉아 떨리는 마음으로 끝나는 시간까지 꼼꼼하게 듣고 바로 다음날 동아리 가입을 시작으로 우리 세아이의 들엄시민을 그렇게 시작됐습니다. 그리고 지금 3년이 지났고 ,, 큰 아이는 내년 중학생이 되어 읽엄시민으로 들어가는 것에 대한 설렘을 가지고 하루하루 들엄시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들엄시민 예산 삭감이라는 기사를 접하게 됐습니다. 3년이란 시간동안 터잡기를 하기 위해 숱한 부모교육을 받으러 다니며 마음을 다잡고 버티며 여기까지 왔습니다. 제발 도의회 도의원 여러분... 우리 제주에서 부모들이 자발적인 동아리 모임으로 사교육 없이 영어교육을 한다는 자부심을 찾아 봐 주시기 바랍니다. 초등6학년,4학년,3학년입니다.. 어디 저뿐이겠습니까? 제발 다시 한번 생각 해 봐 주시길 간곡하게 부탁드립니다.
|
|
▲ 이전글 | 아이들이 좋아하는 들엄시민 예산을 왜삭감하셨나요? |
▼ 다음글 | 들엄시민 예산삭감 이유 알고싶습니다 |
답변 | |
---|---|
작성자 | 오상진 |
등록일 | 2018-12-27 10:58 |
첨부 | |
먼저 우리 도의회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의견을 남겨주신데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ㅇ 지난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366회 제2차 정례회 교육위원회에서 예비 심사한 2019 본예산 중 외국어듣기능력신장 들엄시민 운영예산과 관련하여 예산이 삭감된 바 있으나,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본 심사에서 일부반영됐음을 알려드리며,
ㅇ 그동안 바쁘신데도 불구하고 제주교육에 관심을 가져주신데 있어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서 향후 여러 도민분들의 의견에 항상 귀기울이는 의정활동을 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콘텐츠 관리부서 : 총무담당관 담당자 : ☎ 064-741-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