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여러분의 진솔한 이야기, 미담사례, 알리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게시하는 도민 여러분의공간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인터넷 홈페이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0조(홈페이지 게시물 관리)에 의하여 특정인의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욕설·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기타 게시판 운영 취지에 맞지 아니하는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으며, 게시자는 게시물 등록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민·형사상의 책임을 져야 함을 알려 드립니다.
자유게시판에 올린 내용에 대해서는 본 의회에서 답변을 하지 않습니다.
31.佛敎에서 法具의 意味 | |
---|---|
작성자 | 박규택(華谷, 孝菴) |
조회수 | 947 |
등록일 | 2014-05-17 |
첨부 | |
佛敎에서 鐘은 산스크리트어로 간타(Ghanta)라고 하는데 초기에는 대중에게 시간을 알려주는 用器였을 뿐이였다. 그러나 차츰 儀式用으로 사용되어 가장 중요한 儀器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鐘은 印度나 中國의 것을 다소 본받았지만 그러나 옛 傳統인 탁(鐸) 같은 것을 이어받아 독특한 모양을 만들었다. 꼭지에는 소리를 내게 하는 음통(音筒)과 용뉴(龍鈕)를 달았으며 鐘身部는 물독을 거꾸로 세운 것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제일 윗부분을 새겨 붙이고 그 밑에 한 줄의 띠(帶)를 두르고 있다. 띠는 보통 당초(唐草)·보상화문(寶相花紋)을 새기고 있는데 때로는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飛天像)이나, 佛像·보살상(菩薩像) 같은 것을 중간에 새기기도 한다. 어깨에는 4군데 유곽(遊廓)을 표현하고 그 안에 9개의 젖꼭지(乳頭)를 달고 있다. 다음은 佛敎에서 法具의 意味와 그 種類를 첨부파일과 같이 자세히 알아 보기로 한다. |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