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여러분의 진솔한 이야기, 미담사례, 알리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게시하는 도민 여러분의공간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인터넷 홈페이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0조(홈페이지 게시물 관리)에 의하여 특정인의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욕설·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기타 게시판 운영 취지에 맞지 아니하는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으며, 게시자는 게시물 등록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민·형사상의 책임을 져야 함을 알려 드립니다.
자유게시판에 올린 내용에 대해서는 본 의회에서 답변을 하지 않습니다.
#2024 마을교육활동가 양성과정 참여 소감 11 | |
---|---|
작성자 | 오성범 |
조회수 | 116 |
등록일 | 2024-01-25 |
첨부 | |
강사/ 노형중학교 교사 김은경 제/주와 내가 관련 된 마을은 어디일까? 주/거지(dwelling)일까? 자라난 곳, 아니면 출생지 를/말하는 걸까? 용담, 삼도1동, 아라동, 연동, 애월, 읽/는 이름에 다가오는 지역,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사시 는/애월이 가장 많이 다가왔다지요. 우/리가 생활하는 마을과 지역, 리/와 읍과 동과 시의 원주민들과 이주민들, 마/을에서 자라나는 청소년들과 정착민들은 마 을/에 살면서 얼마나 제주의 역사를 느끼고 있을까? 이/긴밀한 역사의 기억들을 제시하려고, 이 야/기하는 숫자의 배열, 2018년(교사부임), 70주년, 100(?) 기/가막힌 강사님의 4.3의 교과 활동 강의가 시작됩니다. 나/는 어떨가? 제주에 살고 있는 마을 의/주민들은 어떤 관계들이 있을까? 삶/속에 부딪히고, 떠나가고 남아있는 사람들은,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시간들까지 어떻게 연/결되고,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을까? 결/론을 맺지 못하는 문제들을 향해, 손 짓/하며 바라보고 기억하게 하는 학생들과 다/같이 참여했던 교과의 과정들을 소개 합니다. 운/영 학습의 성취기준, 사실적 기반에서 반 영/되는 4.3에 대한 이해와 교훈을 바탕으로, 역 사/의 결과들을 생각하며, 주제 사 례/들의 내용들(평화. 인권. 통일감수성)을 실천하고, 청/소년들이 일정 기간 동안에, 소/그룹을 구성해서 계획하고 실행하며 공유하는, 매 년/도전 프로젝트 운영과정의 결과들을 보여줍니다. 평/화가람(펠롱펠롱/ 제주어로 반짝반짝), 화/해와 평화의 길로 동백의 잔향을 이어가다는, 모두의 공/감으로 최우수작으로 선정된 문구 입니다. 감/동의 마음들을 모아(시, 소설, 그림, 일러스트 등) 도/록(평화문집)을 만들고, 4.3을 연계하여 전/학생이 참여해서 영남동 마을의 아픔을 기억하며 프/로젝트, 전교생 반 탈출 게임을 소개하고, 사전 답사 로/준비하며 사후 답사의 결과들을 탐색하는, 프로 젝/트의 활동을 들으며, 아무것도 몰랐던 아이들이 트/여지는 역사의 시각들이 너무 기뻤습니다. 펠/레톤(feuilleton), 부정적인 현상을 비판하거나 조 롱/하는 시각이 아닌, 과거를 기억하는 펠/롱펠롱 눈망울로, 오늘과 미래를 바라보는 영 롱/한 눈빛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겠지요! 평/화로운 제주의 정방폭포, 4.3 유적지가 화/해가 조정되지 않으므로, 기억하는 추모의 장소 가/변경되어 지속되는 아픔은, 멈추기를 바라는 바 람/간절한 기도임을 바라봅니다! 제/주 시린 겨울 지나 따뜻한 봄날의 품에서, 제 주/평화의 꽃잎이 흩날리길! 노형중학교 로/전근하여 활동하며 아이들과 함께 외치는, 평/화의 섬, 제주 4.3의 삶 속에서, 화/해와 상생의 삶을 살아가므 로/우린, 느영 나영 몬딱 제주 사름들, 메아리칩니다! *강의 내용을 축약 정리하며 올려봅니다. <이 교육은 2024년1월15일(월)-26일(금)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