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여러분의 진솔한 이야기, 미담사례, 알리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게시하는 도민 여러분의공간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인터넷 홈페이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0조(홈페이지 게시물 관리)에 의하여 특정인의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욕설·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기타 게시판 운영 취지에 맞지 아니하는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으며, 게시자는 게시물 등록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민·형사상의 책임을 져야 함을 알려 드립니다.
자유게시판에 올린 내용에 대해서는 본 의회에서 답변을 하지 않습니다.
#2024 마을교육활동가 양성과정 참여 소감 7 | |
---|---|
작성자 | 오성범 |
조회수 | 172 |
등록일 | 2024-01-20 |
첨부 | |
마/을의 특징과 지역 을/살피며, 제주다움을 관찰하는 교/육 영상 드라마 자료, 웰 컴 투 삼달리를 보여주며, 교 육/에 참여한 지원자들의 5일 동안의 설/레이는 마음들을 설 계/하며 포부와 다짐 하/는 이야기들을 나누라는 강사의 말에 기/다렸다는 듯 열정의 샘물이 솟아오릅니다. 신/기하게도 전국 4개 지역(제주.서울.충남.전라도)에, 신 창/이라는 지명이 있다며, 초/조하고 갈급한 심정으로, 강의의 중심을 소/개합니다. 구석에 있는 소중한 곳, 소중하고 곱/닥(고운의 제주어)한 길, 길/을 걸으며, 마을을 가까이 살펴보는, 쉽/지 않았던 마을과 학교 교육의 지/속되는 철학의 물음들을 제시합니다. 원치 않/았던 폭설 현장에서, 경험을 통해 바라보 았/던 버스 밖 마을의 풍경들을 감상하 던/감동의 시간들로 이/제 학교가 마을과 어떤 이 야/기들을 통해 전개될지, 공감코드 기/다림의 연결고리가 펼쳐집니다. 마/을 밖 지역으로 나서기 위해, 마 을/과 학교가 교육의 내용과 관련하여 이/제 교과의 배열과 조직을 체계화한 전체적 주/도면밀한 계획을 세워, 아이들이 마을의 주 인/이 되게 하는 설계의 방향들을 소개합니다. 이/마을교육활동의 방향에서, 진리의 커뮤니티가 되/도록, 지옥에서 온 학생 도/가르칠 수 있는 용기, 탐구의 주제(마을)가 중심 되도 록/공포를 두려워하지 않는 교사의 헌신을 느껴 봅니다. 철/학하는 마을 교육활동(백워드 교육과정 설계기법)은, 학/습을 통해, 마을을 위해, 마을을 통해, 다른 목표를 지향 하/고자 하는 실현 가능성 때문입니다. 기/회라는 “접근법” 과정 방식으로 받아들이는! 아/이들이 바라는 결과를 확인했다면, 이/제 수용 가능한 증거를 결정(평가계획)하고, 들/으며 바라보는 내용들을, 이/제 행동하도록 학습의 경험들로 이끌어 주어야 합니다. 어/디서든지 학생이 살아갈 삶 속에서, 어 떻/든지 자율적이고 자동적으로 보여주기를 기대하 게/하는 행동, 성취기준은 학교가 마을교육이 되/게 하는 목표입니다. 한 시간 전의 학습의 내용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Wiggins&Mctighe/ 이해의 6가지 측면) 우리, 를/향해, 가외시잊(가르치고, 외우고, 시험보고, 잊어버림) 바/라보며 웃습니다. 마을교육의 목표를 이해했다면, 바 라/보는 설계에 따른 행동이 이루어져야 하겠지요! 마을교육설계하기 는/설명과 해석과 적용과 관점과 공감과 자신의 깨달음, 6 가/지 가운데, 1가지를 실행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일입니다. 아/하! 이런 거였구나! 이렇게 하면 되는구나! 이런 일도 있었네! 아 하/! 오늘 강사님의 강의를 통해 체계적 설계교안을 그려봅니다! *강의 내용을 축약 정리하며 올려봅니다. <이 교육은 2024년1월15일(월)-26일(금)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