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검색열기

메뉴열기

주메뉴

메뉴닫기

서브페이지 컨텐츠

자유게시판

네티즌 여러분의 진솔한 이야기, 미담사례, 알리고 싶은 내용을 자유롭게 게시하는 도민 여러분의공간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인터넷 홈페이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0조(홈페이지 게시물 관리)에 의하여 특정인의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이나 성향, 욕설·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기타 게시판 운영 취지에 맞지 아니하는 게시물은 삭제될 수 있으며, 게시자는 게시물 등록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문제에 대해 민·형사상의 책임을 져야 함을 알려 드립니다. 

자유게시판에 올린 내용에 대해서는 본 의회에서 답변을 하지 않습니다.

게시판 상세보기
필사와 드로잉으로 4.3을 마주하다 두번째 만남
작성자 오성범
조회수 24
등록일 2025-04-06
첨부

드로잉 2강.hwp 바로보기

2025 제2기/ 필사와 드로잉으로 4.3을 마주하다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 (3월27일/목)
두 번째 만남/ 기억을 따라 쓰다 1부, 새

말/씀을 나누는 강사님과 오늘도 참여
하/며 즐겁고 행복한 만남을
고/대하는 자리에, 늦지 않고
싶/었는데, 따가운 시선의 눈총을 받으며 들어선 것
은/버스 노선을 확인하지 못함으로 빗어진
욕/구의 불만족이라는 고백으로
구/차한 마음의 변명을 감추며 강의에 집중해 봅니다.
작/가가 전해주고자 하는 내용을 누군가
가/맞이하고 받아줘야 하는 수신인과 발신인
의/대립 갈등, 말하고 싶은 욕구!
예/술인으로 느끼는 정신적인 통증과 예
술/인으로서 경험되는 신체적인 통증, 글 쓰는 작가의
표/현과 나무를 깍는 작가의 상관관계는 이분법적인 표
현/이 아닙니다. 정착과 유목의 삶, 타자와 자신의 이야기를 살펴보길 요구합니다.
아/름다운 것이 무엇일까요? 글을 쓰는 작가의 아름
름/다움은 정신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작가가 독자에게
다/가서기 위해 말하고자 하는
운/율, 의도, 주제, 작가의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싶은
것/Text로 인해 해석 되어지는 생명성,
이/변화는 운동성이 있습니다.
무/엇이든지 상상하고, 리
얼/한 이미지의 상징과 가
까/이에서 체험되는 실재는 경험하는 것입니다!
눈/으로 볼 수 없는 세계가 있을까요? 개인사적인 사랑과 정치적 갈등
으/로 심리적이며 철학적인 인간의 복잡한 양상이 펼쳐지는 소설
로/책 읽어 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1995년 소설을 소개합니다.
볼/수 없었고, 보지 않았고, 보길 원했던
수/용소 안에서 일어났던 속임과 멸시와 조롱, 자신에게
없/었던 그 두려움과 창피함의 문맹으로 수용소 소녀들에게 책을 읽게 하
는/채움의 욕망 한나, 전쟁이 끝나고
세/상에서 살기위한 몸부림으로 선택한 전차안내원의 만남의
계/기로 죄책감이 없는 사랑의 관계가 이루어집니다.
너/의 삶의 고통의 부분들이 나
의/시간 속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을까요?
이/야기를 듣기만 하고 이
야/기를 눈으로 확인하고 문자로 읽을 수 없는
기/막힌 감정의 삶을 어떤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 한나
는/마치 경하와 닮아 보입니다. 통나무 검은 그림자가
나/타나는 무서운 꿈의 세계에서 넘어지며 도망치는 몸부림
의/모습과 같이, 부끄러움을 피하고자 책을 읽기를 원했던 감시원의 간절함!
이/야기를 듣고서 집에 돌아와서 책을 찾아보고, 영화를 찾아보며 이
야/기의 내용들을 정리해 봤습니다. 한나가 정성껏 남기는 마지막 유언의
기/록은, 나의 과거와 나로 인해 희생된 사람들과, 그리고 나의 사랑, 이제는 모두 안녕. -한나 슈미츠-
실/재적 역사의 진실을 호소하는, 실
재/적 삶을 살고 있는 사람들을 나는 어떻게 마주하고 있을까? 제주
를/좋아하고, 고향 땅이 이곳이어서 부러워하는 사람들에게
경/험되는 제주는 어떤 의미일까? 한강 작가에게 경
험/되어졌던 제주의 마을에서, 중산간의 눈밭을
하/염 없이 걸으며 오늘 안에 물을 줘야한다
는/인선의 말을 기억하는 경하의 책임감을 나는 갖고 있을까? 생각해 봅니다.
상/처와 치유와 회복! <한강 작가의 작별하지 않는다>의
처/음 장, 1부를 읽었던 부분, 자신의 느꼈던 필사의 내용을 너
와/나에게 이 시간 들려주기로 하겠습니다. 서로를 마주보는
치/유의 능력,
유/(you)와 미(me)가 고백하는 내용들마다 마음에 다가
와/공감을 나누게 하였답니다. 저 부분들의 생각과, 이 문단의 느낌들을
회/상하면서, 인선의 어머니가 작가의 귀에
복/스럽게 속삭였던 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잘 놀다 가세요!”
(제2기 참여자/ 오성범)

목록

콘텐츠 관리부서 : 공보관 담당자 : ☎ 064-741-2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