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메뉴열기

검색열기

서브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박두화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박두화

보도자료

게시판 상세보기

박두화 의원, 무형유산 전승확대를위한 방안 강구 및 산업육성을 위한 제대로된 지원 주문!!!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박두화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32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3차 회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세계유산본부장을 상대로 “무형유산 확대 방안과 산업육성을 위한 제대로된 지원”을 주문하였다.

 

□ 무형유산 기능자들은 보유자, 명예보유자는 전승교육사, 이수자, 전수장학생 순으로 전수되고 있고 그 단계에 따라 전승지원금이 지원되고 있다. 그러나 이수자의 경우는 별도의 기준없이 10년이 지나도 전승교육사가 못되고 전승교육활동을 할 수 없어 무형유산 확대에도 어려움이 되고 있다. 전수자과정에서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전승교육사가 될 수 있도록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 전수자는 전수지원금을 일부 받을 수 있으나 이수자는 전수교육활동이 쉽지 않은 상황으로 보유자가 전승이 가능하다고 보는 시점에는 전승교육사로 전환하여 폭 넓게 전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 무형유산 관련 산업육성차원의 브랜드지원과 문화상품 개발지원의 경우 2020년도에는 영감놀이 무형유산은 캐릭터 개발, 캐릭터 활용 손거울 제작, 고소리술 무형유산에는 패키지 개발 및 시제품 제작을 지원했고, 2022년도에는 고분양태 무형유산에는 고분양태 액자 및 거울 제작, 멸치후리는 노래 와 삼달리 어업요 무형유산에는 손수건 제작과 테우모형 전시품을 지원하였다.

 

 

□ 박두화의원은 “진토굿파는소리는 보유자가 최근 작고하여 전수장학생 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성읍민속마을오메기술은 보유자만 잇고 이수자가 없는 상황이다. 또한 제주시창민요는 이수장와 전수장학생만 있어 전수활동을 하지만 교육활동은 못하게 되어 이수자와 전승장학생이 전승교육사가 될 수 있도록 단계별 안배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 이에 박두화 의원은 “이수자들이 전수교육활동을 폭 넓게 할 수 있도록 전수자와 전승장학생들이 일정기간이 지나면 전승교육사로 전환하여 폭 넓게 전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무형유산 성격에 맞는 산업육성도 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 박위원은 “무형유산의 산업육성을 위해서는 브랜드와 시제품을 지원하는 것은 좋은 방향이나 영감놀이, 멸치후리는 노래, 삼달리 어업요의 경우는 실질적인 산업육성 차원이라고 볼 수 없다. 영감놀이의 경우는 굿 문화와 연결되고 멸치후리는 노래, 삼달리 어업요는 소리가 상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공연지원이나 음반발매 등 분야별 필요한 지원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전문위원실 강연심 정책연구위원(☎ 064-741-205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자 문화관광체육전문위원
조회수 472
등록일 2024-10-11
의원 박두화
첨부

박두화의원_무형유산 확대방안.hwp 바로보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