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메뉴열기

검색열기

서브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한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한권

보도자료

게시판 상세보기

한권 의원, 10만톤 이하 크루즈 제주항으로 안 오는 이유는?

선사 측 요청 절반 가까이 차지, 경제 효과 대책 마련 시급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한권 의원(더불어민주당/일도이도건입)1020일 열린 443회 임시회 제주시 농수축산국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제주항에 입항해야 하는 10만톤 이하 크루즈가 강정항으로 입항하는 횟수가 증가하고 있는 바, 제주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제주시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 제주특별자치도는 현재 10만톤 이상의 크루즈는 강정항으로, 10만톤 이하의 크루즈는 제주항으로 입항하도록 내부 지침으로 정해 운영 중이다.

□ 한권 의원이 제주지역 크루즈 입항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10만톤 미만 크루즈 입항 횟수는 173회로, 이 중 강정항에 입항한 크루즈는 37, 21.4%였으나, 2025년에는 212회 중 77회로 36.3%를 차지해 14.9%p나 증가하였고, 2026년 입항 계획에도 10만톤 미만 크루즈 입항 224회 중 73회(32.6%)가 제주항이 아닌 강정항으로 입항할 계획으로 나타났다.

□ 10만톤 미만 크루즈가 강정항으로 입항하는 사유는 강정항 선사가 요청한 경우(선사요청)와 제주항에 다른 크루즈의 입항 계획이 확정(제주항 선석 기배정)되는 두 가지로, 2024년 강정항에 입항한 10만톤 크루즈 입항 횟수 37회 중 선사요청은 29회(78.4%), 제주항 기배정 8회(21.6%) 였으나 2025년에는 전체 77회 중 선사요청 36회(46.8%), 제주항 기배정 41회(53.2%)로 나타났다.

 

○ 2026년에는 10만톤 미만 크루즈의 강정항 입항 횟수는 73회로, 선사요청 22회(30.1%), 제주항 기배정 51회(69.9%)로 예정되어 있다.

 

<제주지역 크루즈 입항 현황>

(단위: 회)

 

구분

총계

(A+B)

 

10만톤

이상(A)

10만톤

미만

(B=C+D)

 

제주항

(C)

강정항

(D=E+F)

 

선사요청

(E)

제주항

기배정(F)

2024

274

101

173

136

37

29

8

100.0%

36.9%

63.1%

78.6%

21.4%

78.4%

21.6%

2025

325

113

212

135

77

36

41

100.0%

34.8%

65.2%

63.7%

36.3%

46.8%

53.2%

2026

333

109

224

151

73

22

51

100.0%

32.7%

67.3%

67.4%

32.6%

30.1%

69.9%

합계

932

323

609

422

187

87

100

100.0%

34.7%

65.3%

69.3%

30.7%

46.5%

53.5%

연평균

증가율

10.2%

3.9%

13.8%

5.4%

40.5%

 

 

 

제주도청 내부자료

 

 

 

□ 이에 대해 한권 의원은 10만톤 미만 크루즈의 강정항 입항이 증가하면서, 전체 10만 미만 크루즈 입항 회수의 2024~2026년 연평균 증가율은 13.8%에 이르나, 제주항 입항 크루즈 연평균 증가율은 5.4%에 불과한 반면, 10만톤 미만의 강정항 입항 크루즈 연평균 증가율은 40.5%에 이른다고 지적하였다.

□ 한권 의원은 최근 올해 크루즈 관광객이 64만명을 돌파하는 등 크루즈 관광 성장세가 나타나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큰 상황이나, 제주시의 입장에서 제주항으로 오는 크루즈가 적다는 것은, 곧 제주시 지역경제로 유입될 경제효과가 적어진다는 의미가 되는 것인 바,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것을 주문하였다.

 

□ 구체적으로 2가지 접근이 필요한 바, 첫째 크루즈 관광 전문가 자문 결과, 제주항이 강정항에 비해 하선 시간이 적게 소요되고, 주변 관광 여건도 양호하여 크루즈 관광객 선호도가 높은 바, 이를 선사에 알릴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며, 둘째 제주항의 크루즈 예비 선석의 보수를 통해 재운영하여 추가 선석이 구축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 한권 의원은 제주도청 입장에서는 제주도 전체의 경제적 효과가 중요한 바, 제주항이든 강정항이든 크루즈 입항 횟수 증가가 중요한 정책적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는 바, 10만톤 미만 크루즈의 강정항 입항 횟수 증가 문제는 제주시가 주체가 되어 대응해야 할 정책과제로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선사 측 요청에 의한 사유가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 대책 마련과 보다 적극적인 제주도와의 협의와 대응을 통해 크루즈 관광 성장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제주시민이 누릴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한권 의원실(☎ 064-741-1952)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자 한권 의원
조회수 106
등록일 2025-10-20
의원 한권
첨부

[251020]10만톤이하_크루즈_제주항_미입항(한권의원).hwp 바로보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