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메뉴열기

검색열기

서브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한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한권

보도자료

게시판 상세보기

한권 의원, 서제주시GRDP 동제주시 GRDP의 1.24배·우세 산업분야 확연히 달라

제주시 행감, 동·서제주시의 경제·산업구조 분석과 대응 필요성 제안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 한권 의원(더불어민주당/일도이도건입)
432회 임시회 제주시 행정사무감사에서 2020년 기준 제주시 GRDP를 동·서제주시로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서제주시 GRDP가 동제주시 GRDP1.24배로 나타났으며,
·서제주시의 우세 산업분야가 확연히 다른 바,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 준비에 있어, 보다 정교한 분석을 통한 경제·산업 정책 구상이 사전에 준비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한권 의원은 이날 제주시장을 대상으로 한 정책질의에서,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도입시 신설될 동제주시와 서제주시의 GRDP, 경제전문가 자문을 통해 자체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 동·서제주시 GRDP 분석은 통계청이 발표하는 2020년 기준 제주시GRDP를, 동·서제주시의 관할 행정구역별 농림어업 가구 수, 사업체 매출액, 사업체 종사자 수 등을 활용하여 분리·추정하였다.

□ 분석 결과, 동제주시(236,370)와 서제주시(255,284)의 인구 비중(2023년 기준) 48.1%, 51.9%, 서제주시가 3.8%p가 높은데 반해, GRDP(2020년 기준)
서제주시가 현재 제주시GRDP55.4%를 차지해, 10.8%p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서제주시GRDP가 동제주시GRDP에 비해 1.24 높으며, 세부 산업구조의 경우 동제주시는 제조업, 공공행정, 교육, 사회복지서비스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서제주시는 농림어업, 건설업, 정보통신업, 부동산업, 사회서비스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동·서제주시의 산업구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시 GRDP의 동제주시‧서제주시 분리(추정)>

(단위: 백만원)

 

구분

제주시

GRDP

 

동제주시

서제주시

GRDP

비중

GRDP

비중

GRDP(총부가가치)

12,172,806

5,433,499

44.6%

6,739,307

55.4%

농업, 임업 및 어업

748,832

347,198

46.4%

401,634

53.6%

광업

9,500

5,278

55.6%

4,222

44.4%

제조업

561,591

323,836

57.7%

237,755

42.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38,435

101,737

42.7%

136,698

57.3%

건설업

811,225

294,040

36.2%

517,185

63.8%

도매 및 소매업

866,386

407,643

47.1%

458,743

52.9%

운수 및 창고업

584,409

246,703

42.2%

337,706

57.8%

숙박 및 음식점업

661,980

290,215

43.8%

371,765

56.2%

정보통신업

1,092,925

379,649

34.7%

713,276

65.3%

금융 및 보험업

827,676

398,931

48.2%

428,745

51.8%

부동산업

1,009,453

404,953

40.1%

604,500

59.9%

사업서비스업

1,041,744

364,227

35.0%

677,517

65.0%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1,687,632

959,677

56.9%

727,955

43.1%

교육서비스업

764,624

400,342

52.4%

364,282

47.6%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786,976

413,163

52.5%

373,813

47.5%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476,697

132,280

27.7%

344,417

72.3%

 

주) 통계청 2020년 기준 GRDP 활용 자체분석

 

한권 의원은 산업구조는 그 지역의 성장 가능성과 앞으로의 발전 여부에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동·서제주시의 GRDP와 산업구조 등에 대한 분석이 사전에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정책적 검토가 필요하나, 이와 관련된 노력은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특히 “동과 서로 분리되는, 행정구역은 예전 제주시와 북제주군이 합쳐지는 행정체제 개편과는 또 다른 문제로, 동제주시와 서제주시는 운영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경제·산업구조에 대한 보다 정교한 분석과 연구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얻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당사자인 제주시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문하였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한권 의원실(☎ 064-741-1952)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자 한권 의원실
조회수 543
등록일 2024-10-08
의원 한권
첨부

[보도자료]241008_(행감)GRDP격차_1.2배_동·서제주시_산업구조_고민필요(한권의원)-3.hwp 바로보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