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주주의 가치를 새롭게! 도민중심 민생의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메뉴열기

검색열기

서브 컨텐츠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 김대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김대진

보도자료

게시판 상세보기

양영수 의원, 김대진 의원, 박두화 의원 “성읍민속마을 지속가능한 방안 강력 요구!!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양영수 의원(진보당, 아라동을선거구), 김대진 의원(더불어민주당, 동홍동), 박두화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35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2차회의에서 세계유산본부장을 상대로 “성읍민속마을의 지속가능한 방안 마련”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 성읍민속마을은 1984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794,213.3㎡(238,503평) 성읍1리 전체 면적의 3.2%에 달하며 성읍마을 내 총 26개소가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성읍민속마을은 유일하게 주민들이 살고 있어 그 의미가 크다.

 

□ 현재 성읍민속마을의 초가들은 비를 막아주어야 하는 지붕이 골이 생기기 시작하여 속이 썩고 초가 이엉잇기를 한 지붕을 보면 새 띠로 펼쳤을 뿐 옛날처럼 띠(새)가 두툼하게 올려져 있지않고 얇게 펴서 가닥을 샐 수 있을 정도가 되면서 초가가 몸살을 앓고 있다. 초가 20평(66㎡) 당 6바리(30단x6) 180단의 띠가 두툼하게 올려져야 하는 상황에 이엉잇기가 제대로 되지 않아 비가 새어 내부까지 문제가 되는 실정이다.

 

□ 띠(새)의 수확량은 연간 35,820단(167,221㎡)이 생산되지만 소요량은 39,000단에 달하여 4,000단 정도가 부족한 상황으로 띠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도 이엉잇기 띠 지급에서 초가 평수에 따라 적정하게 공급해야 하는데, 초과하여 띠 공급이 이루어지는 가옥이 있는 반면 평수에 비해 적게 공급되는 가옥이 있고, 미지급되는 가옥들도 많은 상황이다.

 

□ 성읍민속마을 주민들이 국가민속문화유산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기 위한 교육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가옥 66㎡당 6바리 기준 적용과 지붕잇기에 대한 방법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실정이다. 성읍민속마을 주민들이 본인 가옥에 필요한 띠(새)량을 인지하고, 띠(새)량이 부족함을 인지시켜 자체적으로 띠를 재배하거나 융통하여 지붕 이엉잇기를 스스로 감독할 수 있도록 독려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 양영수 의원은 “성읍민속마을의 생명은 초가이고 초가의 생명은 띠(새)이다. 모자란 띠 생산량에 초가 가옥마다 다르게 지급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철저하게 행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초가 보수기준과 이엉잇기에 대한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성읍민속마을관리소와 민속보존회, 마을 초가주 등 입회하에 교육하고 홍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성읍민속마을이 지속가능하도록 철저하게 관리하고 행정력을 집중시켜 달라”고 주문하였다.

 

□ 또한 김대진 의원은 “띠 이엉잇기가 2024 국가유산수리 표준시방서에 3겹으로 한다고 나와있다. 한 겹으로 이엉잇기를 하게 되면 당연히 비가 새어 내부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띠 공급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여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상황으로 보인다. ”며 문제성을 지적하였다.

 

□ 박두화 의원은 “본의원의 경험에 의하면 초가 이엉잇기를 하려면 띠의 밑둥과 잎부분이 가지런하여야 하고 이엉잇기의 초장은 밑둥이 처마쪽으로 향해 이어가고, 두 겹째부터는 잎부분이 처마밑으로 이어져 비를 막아준다. 행정은 띠 생산부터 수확, 지급까지 철저히게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행정당국에서는 성읍민속마을이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보전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시겨 달라”고 주문하였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전문위원실 강연심 정책연구위원(☎ 064-741-205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작성자 문화관광체육전문위
조회수 389
등록일 2025-02-25
의원 김대진,박두화,양영수
첨부

[250525](보도자료)양영수 의원, 김대진 의원, 박두화 의원_성읍민속마을 지속가능한 방안 강력 요구.hwp 바로보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