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목석원, 핵심콘텐츠 부활 “다시보는 갑돌이와 갑순이의 일생”설문대할망전시관 메인콘텐츠로 제안 !!! |
|||
---|---|---|---|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강철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연동을선거구)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32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3차 행정사무감사에서 제주돌문화공원관리소장을 상대로 “2020년 준공되어 전시콘텐츠 부족으로 개관하지 못한 24,585㎡의 「설문대할망전시관」은 제주돌문화공원의 전신인 제주 목석원의 가장 핵심 콘텐츠였던 ‘갑돌이와 갑순이의 인생’이 필요하다고 재현을 제안하였다.
□ 제주를 찾은 신혼부부 등 관광객들이 들러보던 제주시 탐라목석원은 1980년대에 연간 100만명이 찾을 정도로 제주 최고의 관광지였다. 그 이유는 “갑돌이와 갑순이의 인생” 등 스토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71년 문을 연 탐라목석원은 제주도에서 수집한 기묘한 돌과 나무로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설화, ‘갑돌이와 갑순이의 일생’ 등을 보여주며 38년간 관광객을 끌어모았다. 특히 갑돌이와 갑순이 이야기 코너는 신혼부부들이 꼭 거쳐가던 사랑의 확인 장소였다.
□ 1999년 목석원대표 백운철대표와 북제주군은 21세기 문화시대에 앞서 기증한 20,991건의 제주특유의 돌과 민속자료 등을 집대성한 세계수준의 종합문화공원조성을 목적으로 협약서를 체결하면서 돌문화공원 조성이 시작되었다.
□ 강철남의원은 “돌문화공원은 탐라목석원의 모든 민속자료와 특유의 돌과 민속자료를 기증받았음에도 스토리가 부족하고 정체성이 혼란스러운 시설이 들어서는 등 운영로 설문대할망전시관 개관도 미뤄지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설문대할망전시관 공간 내 또는 연결되는 외부에 형상석이나 괴목 소품들을 전시하고 ‘갑돌이와 갑순이의 일생’등을 목석원 때와 같이 재현하여 관람객들이 옛 향수를 느끼고 익살스럽게 이야기를 나누면서 한바탕 웃고 간다면 다시 찾지 않을 이유가 없다. ”며 제대로 설문대할망 전시보강사업을 추진해달라고 주문하였다.
□ 강 의원은 “돌문화공원은 가장 제주다운 곳으로서 그 아름다움을 제대로 소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제주도 대표 종합문화명소로서의 도약은 먼데 있는 것이 아니다. 돌문화공원이 시간 흐름에 따른 신비로움과 스토리가 작동된다면 분명 ‘갑돌이와 갑순이의 일생’스토리처럼 가장 제주적인 공간으로 자리메김 될 것이다.”고 역설하였다. 【사진첨부】
|
|||
작성자 | 문화관광체육전문위원 | ||
조회수 | 671 | ||
등록일 | 2024-10-11 | ||
의원 | 강철남 | ||
첨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