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도시계획 재정비로 압축도시로 전환 되어야양영식 위원장, 인구감소시대 방만한 도시팽창은 재앙 |
|||
|---|---|---|---|
|
❑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43회 임시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제3차 회의 제주시 행정사무감사에서 양영식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연동갑)은 “현재 제주시의 도시계획은 시대의 흐름을 거스르고 있다”며, “인구감소와 고령화가 심화되는 현 시점에 맞는 새로운 도시계획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양영식 위원장은“지속되는 인구감소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주거·상업·업무·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한 공간에 융합해 도시 내에서 모든 일상 활동이 가능하도록 고밀도‘콤팩트 시티(Compact City)’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 또한, 양영식 위원장은 “제주시 도시계획이 방만하게 확산된 결과 삼양, 아라, 하귀지역 등 외곽지역에 베드타운이 조성되면서 도심공동화와 교통문제 등이 심각해지고 있다.”며 “인구 감소시대에 도시 팽창은 재앙이며, 이제는 도시를 콤펙트하게 전환해야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 이어 “향후 제주시도시관리계획 수립 용역 시에는 연동 일부와 구도심 지역 저층 ․ 저밀도 주택가를 대상으로 용도지역 변경 방안을 필수 과제로 포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이에 김완근 제주시장은“위원장님께서 제안하신 내용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 끝으로 양영식 위원장은 “제주시가 인구감소와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도시계획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미래지향적 도시개발 패러다임을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재차 주문했다.
❑ 한편, 양영식 위원장은 “현재 제주시의 주요 현안과 역점사업이 주차문제 해결에 집중되어 있다”며, “자동차 등록대수가 이미 71만 대를 넘어선 현 시점에서는 주차장 확충과 같은 사후적 대책이 아니라, 차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실질적 정책 개발과 추진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
|||
| 작성자 | 농수축경제전문위 | ||
| 조회수 | 58 | ||
| 등록일 | 2025-10-20 | ||
| 의원 | 양영식 | ||
| 첨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