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R코드를 스캔하세요
정쟁의 여파로 18년간 유배를 당한 비운의 학자 정약용.
자식의 대한 교훈과 그림움을 담아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정약용은 유배 이전부터 허례허식을 탐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구가하는 조선의 사대부들을 비판하며 실질적이고 개혁적인 학문을 탐구하였다. 정쟁의 여파로 18년간 유배라는 인간으로서 감내하기 어려운 시련을 겪지만, 분노와 좌절로 자신의 삶을 피폐하게 만든 것이 아니라 인격적 수양을 하고, 여전의 가족의 중심축으로 굳건히 자리하고, 조선 사회를 개선하고 변화시킬 사상을 완성하였다. 한 사람을 이해하면 그의 사상과 가치관에 대해서도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백성이 행복한 세상, 부강한 나라를 꿈꾸었던 정약용의 삶과 학문을 이해하고 배운다면 250년 뒤의 우리가 꿈꾸는 개인적 완성과 사회적 발전은 무엇인지 고민해볼 수 있을 것이다.
시놉시스
1부. 나를 다스려 나라를 바로 세우다
2부. 가족을 그리며 눈물 짓다
3부. 고난을 승화시키다
4부. 학문하는 보람, 시 짓는 즐거움
5부. 경제의 합리적인 운용
6부. 백성이 주인인 사회를 꿈꾸다
상세설명
저자 : 정약용 / 출판사 : 스타북스 / 재생시간 : 02:01:55 / 사이즈 : 171 / 제작형태 : 요약/축약 / 연출자 : 전소라 / 극본 : / 출연자 : 유경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