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김창선 해양수산국장은 “해양쓰레기는 제주도 자체에서만 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 서남해안 등에서 밀려오다 보니 급증하고 있다”고 고충을 토로한 뒤
“제주도에서 환경시설관리공단을 만들려고 하고 있다. 또 이와 별도로 50억원을 투입해 염분 제거 등을 위한 해양쓰레기 전처리 시설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제주에너지공사를 대상으로 한 업무보고에서는 풍력발전사업의 공공성 확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송영훈 의원은 “한동․평대 해상풍력사업은 사업비만 수천억원이 투자되는데, 에너지공사는 관련법상 자본금의 10%인 70억원 정도밖에 투자할 수 있다”며
“공사가 민간과 합동개발 방식으로 추진한다고 해도 이정도 투자금으로는 공공주도 사업이라고 말할 수 없다”고 대책마련을 촉구했습니다.